- Recover
앰비언스 복구 기능 활성화
- Ambience Gain
앰비언스를 복구하는 정도를 조정
(0dB 셋팅일때도 작동함)
- Deep
앰비언스 복구 기능에 깊이감을 더함
- Wide
스테레오 이미지를 넓이거나 향상시킬 수 있음
- Ambience Filters
Dry Signal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지 않음
Cut Filter: 12dB/oct
- M/S Gain
앰비언스 복구 프로세싱은 앰비언스를 복구,
또는 향상시키는데 MS 테크닉을 활용하지 않음
- Meter
피크/홀더 미터는 시그널의 아웃풋 레벨을 보여줌
(-30dB부터 -0dBFS 범위)
- BK-MSTR-Rock Tight Bass
악기들의 Depth와 Width를 증가하는 동안에도
단단한 베이스 악기를 유지함
- BK-MSTR-Rock Tight Drums
앰비언스의 레벨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베이스 악기를 단단하게 유지함
고역의 앰비언스는 가능한 부드럽게 되더라도,
퍼커션을 단단하게 유지함
- BK-MSTR-String Ensemble
작은 규모의 앙상블이나 솔로 악기의 앰비언스를
향상하고 증가시키는데 유용함
과도하게 Side를 확대시키지 않고 앙상블의
작은 사이즈를 유지하지만 풍성하면서 깊이감에 도움
스테레오 마이킹으로 녹음된 솔로 기타 믹싱에
챔버 리버브 대신 활용 가능
- BK-MSTR-Full Orchestra A
Default 프리셋과 동일하며, Ambience 레벨을
취향에 따라서 올리거나 줄여서 사용함
레코딩 소스의 자연스런 잔향에 따라서 앰비언스 EQ를
이용해 Presence를 더하거나 사운드가 활기를 띠게 할 수 있음
- BK-MSTR-Full Orchestra B
Default 프리셋과 동일하지만, 고역대의 앰비언스를
부드럽게 하여서 퍼커션 사운드를 단단하게 함
- BK-MSTR-Clear Presence
홀이나 챔버에서 레코딩된 소스가 Presence(존재감)가
적거나 없을 때 사용함
- BK-MSTR-Raise Mid Instruments
잃어버린 넓은 앰비언스를 다소 복구하는데 사용
- BK-MSTR-Warm Ambience
전반적인 소스의 온기 / 따스함을 복구하기 위한 셋팅
- BK-MIX-Big Steinway
스테레오 레코딩된 피아노 소스의 선명도를 잃지 않으면서
악기의 바디감과 공간의 크기를 증가함
앰비언스 EQ의 중·저역대를 올리면 6피트의
야마하 피아노가 9피트의 스타인웨이 피아노로 바뀜
- BK-MIX-Big
앰비언스 레벨을 약간 올려서 플러그인이 가진
가능성을 바로 보여줌
- BK-MIX-Too Big
앰비언스 레벨을 상당히 올려서 플러그인이 가진
가능성을 바로 보여줌
- Mode
Dual Delay:
재순환된 신호의 출력은 동일한 라인으로 입력됨
XOVR Delay (Crossover):
재순환된 신호의 출력은 반대 라인으로 입력됨
Ping Pong Delay, Chours, Flanger
Mode에 따라서 Maximum Delay Time 설정이 바뀜
- Rate
값이 높을수록 속도가 빨라짐
- Depth
Modulation의 양을 결정함
- LFO
Sine or Tri의 위상 선택
- Recirc
Feedback의 양을 결정함
(음수일 경우 Feedback 신호의 극성이 반전됨)
- EQ
THD는 발생하지 않으며 주파수가 정확함
- Compressor
THD가 발생하며 Soft Knee Type
- Threshold
Green: 감지 해상도가 낮음
Yellow: 평균 레벨
Red: 원치 않는 인공적인 소리를 생성할 수 있음
- Speed
시간이 길면 부드럽게 작동하고,
시간이 짧으면 빠른 형태변환으로 작동함
- Trim
낮은 피치는 큰 소리를 내기 때문에
값을 낮추면 부밍을 줄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