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produce
플러그인은 내부 레벨 -12dBFS에서 동작하며,
빨간 화살 스티커 위치 시 Meter는 0dB 표시
-∞dB (끔) 부터 +9.48dB 까지 조정 가능
- Record
음량을 작게할수록 깨끗한 사운드를 가지고,
클수록 더 많은 하모닉 세츌레이션과 색깔이 추가됨
-∞dB (끔) 부터 +9.3dB 까지 조정 가능
- Emphasis EQ
NAB: 미국 표준 / CCIR: 유럽과 그 외 지역 표준
선택에 따라 EQ Curve의 미묘한 차이가 남
- Tape Speed
테이프의 회전 속도를 결정 (IPS: 초당 인치의 속도)
하고 녹음 품질과 Head Bump 음향에 영향을 줌
Head Bump란 마그네틱 테이프에서 발생하는 저음역대의 확장을 의미함
테이프의 회전 속도에 따라 전체적인 주파수 밸런스가 변화함
15IPS: 특유의 저음역대(Head Bump) 증가와 따뜻한 사운드로
Rock, Acoustic 음악에 주로 사용
30IPS: 특유의 높은 다이내믹 레인지와 아름답고 돋보이는 반응으로
Classic과 Jazz에 주로 사용
7.5&3.75IPS: 더욱 진한 테이프만의 색채와 음역대 변화, 부가적인 효과들로 사용
- Tape Types
각 테이프들은 고유한 음향적 특성, 디스토션, 테잎 컴프레션 캐릭터를 가지고 있음
각기 다른 캘리브레이션 레벨, 테이프 특유의 세츌레이션과
디스토션이 시작되기까지 필요한 음량이 전부 다름
- Cal Level
총 신호의 크기를 적정선으로 낮춰줄 수 있음 (숫자가 높을수록 음량이 낮아짐)
0dB: 111
+3dB: 35-90, 250
+6dB: 456, 468
+9dB: 900, ATR
- Head Width
Tape Head의 너비를 지정
- Path Select
Sync: 모든 사운드를 모니터링
Repro: 모든 사운드를 모니터링
Input: 테잎머신을 통과한 소리만 모니터링
Thru: Bypass
- Auto CAL
자동 캘리브레이션 기능
(EQ와 BIAS를 임의적으로 수정하면 ON LED에 빨간불이 들어옴)
- Record EQ
테이프 녹음단에 적용되며 테잎 세츌레이션과 캐릭터에 영향을 줌
시스템 필터링과 테이프 특성이 적용되기 전 고음역대를 보정할 수 있음
HF EQ: 녹음되는 신호의 고음역대 증폭
Shelf EQ: 테이프 특유의 비선형성에 대응하는 추가적 EQ
- Repro EQ
테이프 재생단계에서 보정을 위한 테잎 헤드 이후에 적용되며,
플랫한 반응을 유지하는 시스템의 주파수 응답을 수정하기 위한
필터로 사용되고 테이프를 통한 주파수의 변화를 보정하는데 사용함
HF: 테이프로 재생되는 고음역대를 결정
LF: 테이프로 재생되는 저음역대를 결정
- Bias
녹음을 담당하는 테잎 헤드에서 더해지는, 가청 범위 밖의 진동을 의미함
높게 설정하는 것은 사운드를 따뜻하게 하는 테잎 컴프레션에 자주 사용되는 테크닉
낮게 설정하는 것 역시 디스토션을 더하고 비션형적 반응을 끌어내는데 사용될 수 있음
- Wow & Flutter
테잎머신 특유의 기계적인 요소로써 부정확한 음정 변화를 만들어 냄
Wow: 회전축의 불규칙함에 의해 발생
Flutter: 테이프 자체의 늘어짐이나 끈적거림에서 발생하는 부산물
- Crosstalk
좌우 각 채널의 소리가 조금씩 반대편 채널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의미함
XTALK: -50dB부터 -10dB 까지 조정 가능
- Tape Delay
Dry/Wet: 1%씩 증감
L ms & R ms: 10ms 단위르 증감 (0ms - 1000ms 까지 가능)
30IPS: 62ms / 15IPS: 124ms / 7.5IPS: 248ms / 3.75IPS: 496ms